컴퓨터공학(CS) (4)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clone warning: remote head refers to nonexistent ref, unable to checkout. 해결법 깃 코드 관리 도중 makefile과 CMakefile 이 꼬여서 IDE에서 코드 추적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했다. 해당 pc에서 코드를 싹다 날리고 다시 코드 clone을 받으려 하니 위와 같은 에러와 함께 해당 폴더에 코드가 아예 안보였다!(.git 폴더만 존재). 해결 방법: 해당 디렉토리에서 git branch -a 해보면 기존에 있던 branch들과 현재 위치해야하는 branch들과의 충돌로 인한 체크아웃이 안되는 문제였던 것. git branch -a 를 통해 현재 존재하는 브랜치들중 , 다시 작업 진행 하고 싶은 브랜치에 git checkout abc(예시) 명령어 입력하면 , 소스코드들이 다시 폴더에 나타난다. 도커(docker) 시작하기 다들 반갑습니다. 몇달만이지만 아무튼 돌아온 아보카도입니다. 그동안 저는 와우라는 게임에 잠깐 정신을 놓기도, 회사일에 집중하기도, 집에와서 개인 알고리즘 공부에 집중하기도 하며 살았습니다 오늘 포스팅 할 주제는 도커입니다. 하도 핫해서 밴드웨건에 올라타보려 합니다. 도커(Docker)란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입니다.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을 묶은 패키지로,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 체제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도커를 시작하려면 먼저 도커 설치가 필요합니다. 도커는 Windows, Mac, Linux 등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도커를 설치합니다. 도커의 설치는 공식 웹사이트(https://www.docker.. shell,linux,aix)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해결법 리눅스나 유닉스에서 .sh 파일을 실행할때 가끔 일어나는 오류이다. MS 윈도우 시스템에서 작성된 파일을 유닉스 시스템의 vim에서 열면 여는법: vi -b test.sh(예시) 위와 같이 ^M 문자가 함께 찍혀 나온다.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MS의 개행문자는 \r\n인데 유닉스(리눅스) 계열은 \n 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윈도우에서 만든 스크립트 파일이 리눅스나 유닉스에서 열리며 일어나는 문제인데 해결법은 간단하다 파일이 열린 상태에서 :%s/^M//g 를 입력해주고 엔터치면 ^M 이 사라진다. 그리고 wq 엔터치면 끝~! 여기서 제일 중요한 포인트는 ^M은 쉬프트6 쉬프트M 이 아니다. ctrl V(^) ctrl M(M)이다 . 만약 당신이 작업환경은 윈도우, 서버는 리눅스(유닉스)인 사람.. 왜 "Hello, World!" 인가 본인이 이제 코딩을 배워보려는 사람이라면 어느 언어( 여기서 말하는 언어는 C,Java,python 등)를 배우든 가장 먼저 배우는 문법은 바로 "hello world!" 라는 문장을 출력하는 것 부터 시작했을 것이다.(아닌 경우를 소개해준다면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이상하다고 느끼지 못했을 수도 있다. 아직 처음이라면. 근데 또 다른 어떤 언어를 배우더라도 처음 출력해보는 문장은 예외 없이 모두다 "hello world!"이다. 이상했다. 궁금했고 찾아봤다. 당연히 인터넷에는 다 나와있다. 1978년 브라이언 커니핸과 데니스 리치가 쓴 책 "The C Programming Language"에서 처음으로 출력 프로그램인 printf 함수로 hello world! 를 출력했다고 한다.(역시 근본 C) 그.. 이전 1 다음